본문 바로가기
사용 꿀팁

시를 더 아름답게 담는 법: 시집에 어울리는 폰트 추천 5가지

by 하루북 2025. 8. 7.

시집은 짧은 문장 하나, 단어 하나에도 깊은 감정과 여운이 담겨 있지요.

 

이번 글에서는 시의 분위기를 더 깊게 만들어주는
시집에 어울리는 감성적인 폰트를 소개해드릴게요.

 

 

1. 마루부리

 

'마루 부리'는 화면에 온기를 불어넣고, 다양한 시각적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디지철 매체에 어울리는 부리(명조 계열) 글꼴입니다. 전통적인 부리 글꼴의 특징을 살리면서도 따뜻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줍니다.

 

사용자와 함께하는 디자인으로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런지 디지털 환경에서도 보기 좋지만, 부드러운 느낌이 시의 감성을 잘 살려주는 것 같습니다.

 

하루북에서 쓴 마루부리

 

마루 부리 다운로드 링크(무료 사용 가능)

https://hangeul.naver.com/fonts/search?f=maru

 

네이버 글꼴 모음

네이버가 만든 150여종의 글꼴을 한번에 만나보세요

hangeul.naver.com

 

 

 

 

 

2. 순바탕

 

순바탕은 전통적인 요소들은 유지하되, 정확한 표현과 맺음으로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살리고 현대화한 글꼴입니다.

 

조금 더 전통적인 느낌이 많이 들죠? 다른 명조들보다 자간이 넓어서 조금 더 여유로운 감성을 살리기 좋을 것 같습니다.

하루북에서 쓴 순바탕

 

 

순바탕 다운로드 링크(무료 사용 가능)

https://baro.kpipa.or.kr/font/about/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바탕체의 전통적 아름다움 속 활용성, 순바탕 SunBatang 순바탕은 오픈소스형 디지털 폰트로 상업용 서체 사용에 따른 비용 부담 및 지적 재산권 분쟁 방지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바탕체의

baro.kpipa.or.kr

 

 

 

 

 

3. 고운바탕

 

고운바탕은 연필로 쓴 듯한 부드러운 느낌의 서체입니다. 친근하면서도 단정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조금 더 감성적이고 친근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루북에서 쓴 고운바탕

고운바탕 다운로드 링크(무료 사용 가능)

https://github.com/yangheeryu/Gowun-Batang

 

GitHub - yangheeryu/Gowun-Batang: Korean fonts

Korean fonts. Contribute to yangheeryu/Gowun-Bata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4. Mapo꽃섬체

 

Mapo꽃섬체는 난지·하늘공원의 탁 트인 하늘과 살랑이는 억새풀의 감성적인 인상을 담아낸 서체입니다.

길게 뻗은 획과 완만하게 구부러진 부리는 부드러운 식물의 줄기를 표현했다고 합니다. 획의 두께를 얇게 하고 획순에 따라 끊음으로써 부드럽고 따듯한 인상을 줍니다.

 

하루북으로 쓴 마포꽃섬체

 

Mapo꽃섬체 다운로드 링크(무료 사용 가능)

https://www.mapo.go.kr/site/main/content/mapo04010201

 

민원실 종합안내 | 종합민원안내 | 전자민원창구 | 대표사이트

마포구청 | 대표사이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마포구청소개, 전자민원 안내 ,행정정보 안내, 참여마당, 생활복지 안내

www.mapo.go.kr

 

 

 

5. 제주명조

 

제주명조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개발한 무료 서체로, 제주를 닮은 미래지향적인 서체라고 합니다. 

획의 단순화를 통해 현대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표현했다고 하는데요, 'ㅇ'자의 돌기를 제거하고 속공간을 키워 현대감과 가독성을 살린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명조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 감성적이고 현대적인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하루북으로 쓴 제주명조

 

제주 명조 다운로드 링크(무료 사용 가능)

https://www.jeju.go.kr/jeju/symbol/font/infor.htm

 

제주특별자치도

다함께 미래로, 빛나는 제주

www.jeju.go.kr

 

 

 

 

 

시에 어울리는 폰트를 추천해보았는데요,

감성적인 느낌의 명조체를 위주로 선택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위의 폰트는 하루북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니

시집을 쓰고 있는 분들은 기본 서체 말고도 다양한 폰트를 활용하여

시의 감성을 살려보는 것은 어떠실까요?

 

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